티스토리 뷰
이슈&돈되는 정보

초전도체 관련주 케이블 업체 현황

바람구구 2023. 8. 4.
반응형

초전도 케이블이란 기존 구리 도체를 전기저항이 0인 초전도체로 대체한 케이블로써 높은 효율과 안정성을 자랑하는 차세대 전력망 구축 기술입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한국전력공사(이하 한전) 주도로 제주~진도 구간에 세계 최대 용량급 154kV 초고압 직류 송전(HVDC) 연계형 초전도 케이블 시스템을 설치 중이며, 향후 지속 확대될 전망입니다.

이처럼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주목받는 초전도 케이블 시장이지만, 아직까지는 관련 기업들이 많지 않아 경쟁 강도가 높지 않은 상황입니다. 따라서 지금이야말로 기회라고 판단됩니다.


국내 초전도 케이블 업체 현황은 어떤가요?

초전도체와 온도초전도체 온도에 따른 원리전기저항에 0에 이를 때의 초전도체
초전도체 원리

현재 LS전선, 대한전선, 가온전선 등 소수의 전선업체만이 초전도 케이블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특히 LS전선은 지난 2013년 세계 최초로 직류 80kV급 초전도 케이블 개발에 성공하며 글로벌 선두주자로서 입지를 다지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 미국 내 5개 프로젝트 수주 및 유럽시장 진출 가시화 등 성과를 내고 있어 앞으로의 성장이 기대되는 회사입니다.

 

해외 초전도 케이블 업체 현황은 어떤가요?

초전도케이블 예시극저온상태일때의 초전도체전기저항 0인 상태에서 공중에 떠있는 초전도체
초전도케이블과 초전도체 그리고 온도

미국 CPS Energy사는 2017년 2월 뉴욕주 롱아일랜드 지역에 총 연장 약 60km 규모의 HVDC용 초전도 케이블 공급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해당 프로젝트는 2020년 완공되었습니다.

일본 NEC사 역시 2016년 11월 도쿄 인근 치바현에 위치한 슈퍼그리드 실증 단지에 100 MVA급 초전도 케이블을 납품했으며, 2018년 1월 가동을 진행했습니다

이외에도 중국 CNPC사와 캐나다 Power Grid사가 각각 500MVA급 초전도 케이블 건설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LS전선아시아 주가 상승 원인은 무엇인가요?

최근 LS전선아시아는 베트남 정부로부터 호찌민시 지하철 공사 승인을 획득했다는 소식에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번 결정으로 인해 동사는 올해 안에 호치민 메트로 1호선 착공이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되며, 이를 통해 매출액 증가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보입니다.

더불어 내년 상반기부터는 본격적인 실적 개선세가 나타날 것으로 보이며, 장기적으로는 현지 생산법인 설립을 통한 원가 절감효과까지도 기대되고 있습니다.

세계 각국에서 친환경 에너지 정책을 추진함에 따라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이 점차 높아지고 있고, 이로 인해 송배전 설비 투자 수요가 급증하면서 초전도 케이블 시장규모는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반응형
댓글
반응형